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알뜰교통카드에서 K-패스로! 어떤 혜택이?

by 도움꿀팁 2024. 5. 11.

버스정류장에-서있는-버스모습

 

올해 5월부터 K-패스가 새롭게 시행되었습니다. 기존 알뜰교통카드의 불편함을 개선하고 더 폭넓힌 활용을 위해 새롭게 시행되는 교통할인카드인데요, 어떤 점이 달라졌는지 혜택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.

 

주요 혜택

K-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시는 분들에게 일정 비율만큼 환급해 주는 교통비 할인카드입니다. 마일리지 적립하기 위해 매번 앱에서 직접 출발-도착 버튼을 눌렀던 알뜰교통카드와 달리 이용 횟수로만 확인하기 때문에 더 편리해졌습니다. 또한 이용거리에 관계없이 횟수로만 체크하며 월 최대 60회까지로 제한됩니다. 한 달 교통비의 20~53%를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 일반인은 20%, 청년층(만 19세~34세) 30%, 저소득층은 최대 53%까지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 

예를 들어, 한 달에 교통비로 7만원이 나왔다면 일반인 14,000원, 청년 21,000원, 저소득층 37,000원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 K-패스는 전국 모든 대중교통에 적용이 되어 시내버스, 마을버스, 지하철은 물론이고 기후동행카드는 적용되지 않는 광역버스, GTX, 신분당선까지 모두 포함됩니다. 하지만 시외고속버스, 공항버스, KTX, SRT 등 별도의 탑승권을 필요로 하는 교통수단은 적립대상에서 제외됩니다. 또한, 지역별로 추가 혜택을 제공하는 지자체가 있으니, 거주하시는 지역의 혜택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.  

 

이용 방법

K-패스 카드는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로 10개의 카드사에서 K-패스 교통카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 카드사별로 K-패스 혜택과 함께 카드 자체 혜택도 제공하기 때문에 나에게 필요한 혜택이 있는 카드사에서 발급받는 것이 좋습니다. 우선적으로 카드를 발급받은 후 K-패스 공식 앱 또는 누리집에서 회원으로 가입하면 됩니다. 기존에 알뜰교통카드가 있었다면 추가 발급 없이 알뜰교통카드앱에서 K-패스로 회원 전환할 수 있습니다. 

 

주요 카드사별 혜택 비교

신한카드의 경우 가장 다양한 분야의 혜택을 제공합니다. 대중교통 10% 할인 외에도, 간편결제를 이용하여 결제 시 5%를 할인해줍니다. 편의점, 배달앱, 커피전문점, 이동통신요금 등 생활 부분에도 5% 할인 적용됩니다. 전월실적 30~60만원의 경우 최대 7천원 할인 한도가 있습니다. 연회비는 국내 7천원, 해외겸용 1만원입니다. KB국민카드의 경우도 신한카드와 제공하는 혜택이 비슷합니다. 대중교통 10%할인 외에도 생활서비스에서 5%할인이 제공됩니다. 다만 할인한도가 전원실적 30만원 이상일 경우 최대 15,000원 할인한도가 있습니다. 연회비는 국내 회외 모두 8천원으로 동일합니다. 대중교통 할인폭이 큰 카드를 찾는다면 BC바로가 좋습니다. 대중교통 할인이 15%까지 되며, OTT 15%, 이동통신요금과 편의점, 카페 등은 5% 할인 됩니다. 연회비도 국내전용 기준 6천원으로 가장 저렴합니다. 전월실적 30~60만원의 경우 1만원으로 할인한도가 있습니다. 

 

K-패스 교통카드 혜택 및 신청방법과 카드사별 혜택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. 잘 비교하여 나에게 맞는 카드를 선택해 교통비 절감과 생활비까지 아낄 수 있을 것 같습니다.